맨위로가기

이무영 (소설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무영은 1908년 충청북도 음성에서 태어나 1960년 사망한 소설가이다.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서 문학 수업을 받은 후, 교원, 출판사, 잡지사 등에서 일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30년대부터 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졌으며,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직장을 잃고 문예 잡지를 창간하기도 했다. 이후 경기도 군포로 귀농하여 농촌 소설을 주로 쓰면서 한국 농민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았다. 한국 전쟁에 참전 후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했으며, 숙명여자대학교와 단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사후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군 소령 - 이진우 (1934년)
    이진우는 1934년에 출생하여 2010년에 사망한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 국회의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했으며 변호사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 해군 소령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 구인회의 일원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구인회의 일원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 음성군 출신 - 반기문
    반기문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제8대 유엔 사무총장으로, 외교관 생활을 거쳐 유엔 사무총장으로 재임하며 국제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 파리 기후 협정 체결을 이끌었으며 퇴임 후에도 국제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
  • 음성군 출신 - 김동연
    김동연은 1957년 충청북도 음성군 출생으로, 행정고시와 입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고 경기도지사로 당선되었다.
이무영 (소설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무영
원어 이름李無影
한글이무영
한자李無影
히라가나리 무에이
가타카나이・무ヨン
출생일1908년 1월 14일
출생지대한제국 충청북도 음성군
사망일1960년 4월 21일 (향년 52세)
사망지대한민국 충청북도 영동군
필명호(號)는 무영(無影), 탄금대인(彈琴臺人), 필명(筆名)은 이산(李山)
직업소설가
작가
교육인
교수
언론인
예비역 대한민국 해군 소령
학력일본 도쿄 세이조 중학교 중퇴
국적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장르소설
작가 정보
출생일1908년
출생지충청북도 음성
사망일1960년
직업소설가
언어한국어
활동 기간1926년 - 1960년
장르소설
데뷔 작품『의지 없는영혼 (意志のない魂)』

2. 생애

1908년 1월 14일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석인리(속칭: 오리골)에서 태어났다. 7남매 중 둘째 아들이다. 아버지는 이덕여이다. 넉넉하다고는 할 수 없었지만, 생활고에 시달릴 정도는 아닌 중류층 집안이었다. 후에 시인이 되는 이약(이강약)과 같은 고향 출신이다.

11세 때 형인 이을용을 의지하여 상경했고, 이듬해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한다. 이무영이 문학을 지망하게 된 계기는 중학교 2학년 때 읽은 타야마 가타이의 『이불』에 감동받았기 때문이다. 1925년, 졸업을 앞두고 부산으로 건너가 잡역부 일을 하면서 일본으로 건너갈 준비를 했다. 그 해 일본으로 건너가 가토 다케오의 문하생이 되었다. 그리하여 4년 동안 도쿠다 슈세이, 구메 마사오, 시가 나오야, 시마자키 도손에서 프랑스 문학, 러시아 문학까지 섭렵하며 문학 수련에 힘썼다. 유학 중 노자영을 만나, 노자영이 경영하는 청조사에서 처녀작 『의지할 곳 없는 청춘』, 그리고 『폐허의 눈물』을 출판하게 된다. 그러나 이무영의 이름은 이 무렵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1929년, 귀국 후 교원, 출판사잡지사를 전전하면서 집필 활동을 계속했고, 1932년경부터 작가로서의 진가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1934년 5월, 동아일보사에 입사한다. 이때의 동료로는 서항석, 이은상, 변영로, 주요섭 등이 있었다. 1935년, 같은 동아일보에 근무하던 신영균의 소개로 신영균의 처제인 고일신과 결혼한다. 1936년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인해 『동아일보』가 정간되면서 직장을 잃은 이무영은 이약과 문예 잡지 『조선문학』을 창간했다. 그러나 뜻대로 되지 않아 경기도의 궁촌에 은거했다.

궁촌에 은거한 이무영은 여기서 농촌 소설을 써내려갔다. 그 주인공은 이무영 자신이었고, 고생한 아버지의 그림자였다. 그러나 이무영은 실제로 농업에 종사하지는 않았다. 또한 아버지와 함께 살았던 것도 아니었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후 한국 전쟁이 시작되자, 문우인 윤백남, 염상섭 등과 함께 해군에 입대하여 3년 반 동안 근무했다. 1956년,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한다. 같은 해 이헌구, 백철, 이하윤과 함께 국제 펜클럽 런던 대회에 참가했다. 1960년 4월 21일, 갑작스러운 뇌출혈로 사망했다.

사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정되었다[2]

2. 1. 초기 생애 및 문학 수업 (1908년 ~ 1929년)

1908년 1월 14일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오리골에서 태어나, 1913년 충청북도 중원군(現 충주시) 신니면 용원리로 이사했다. 아버지는 이덕여이며, 7남매 중 둘째 아들이었다. 넉넉하지는 않았지만 생활고에 시달릴 정도는 아닌 중류층 집안이었다. 11세 때 형 이을용을 따라 상경했고, 이듬해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1920년 용명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올라와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문학을 지망하게 된 계기는 중학교 2학년 때 읽은 타야마 가타이의 『이불』에 감동받았기 때문이다. 1925년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부산으로 건너가 잡역부 일을 하면서 일본으로 건너갈 준비를 했다. 그 해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세이조 중학(成城中学校)에 입학했으나, 고학을 하다가 중퇴하고, 문학시대 편집가였던 소설가 가토 다케오(加藤武雄일본어)의 집에서 숙식하며 4년간 소설을 공부했다. 도쿠다 슈세이, 구메 마사오, 시가 나오야, 시마자키 도손에서 프랑스 문학, 러시아 문학까지 섭렵하며 문학 수련에 힘썼다. 유학 중 노자영을 만나, 노자영이 경영하는 청조사에서 처녀작 『의지할 곳 없는 청춘』, 그리고 『폐허의 눈물』을 출판하게 된다.

1929년 귀국하여 교원, 출판사잡지사를 전전하면서 집필 활동을 계속했고, 1932년 동아일보에 <지축을 돌리는 사람들>을 연재하면서부터 작가로서의 지위를 굳혔다.

2. 2. 문단 활동 및 귀농 (1929년 ~ 1945년)

1929년 귀국하여 교사, 동아일보 기자 등으로 근무하며 작품 활동을 했다.[5] 1931년 극예술연구회에, 1933년 순문학을 추구하는 구인회에 동인으로 참가하였다.[5] 이효석, 정지용 등과 '구인회'의 동인이 된 후[5] 시골로 내려가 직접 농사에 종사하며 농촌 냄새가 풍기는 소박한 필치로 농부들의 세계를 유머러스하고도 사실적으로 묘사한 <농민>, <흙의 노예> 등을 발표하였다. 1934년 5월, 동아일보사에 입사했으며, 1935년에는 동아일보에 함께 근무하던 신영균의 소개로 그의 처제인 고일신과 결혼했다. 1936년 일장기 말소 사건으로 『동아일보』가 정간되면서 직장을 잃었고, 이약과 함께 문예 잡지 『조선문학』을 창간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아 경기도의 궁촌에 은거했다.[5]

1933년 경기도 군포로 귀농하였고, 이때부터 작품 경향에도 변화가 왔다.[5] 이 시기부터는 농민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을 주로 썼기 때문에 한국 농민 문학 또는 농촌 소설의 선구자로 불린다. <제1과 제 1장>이 이 시기에 쓴 소설인데, 수택이 정직한 농부인 아버지에게 농사를 배운다는 이야기에는 이무영 작가가 귀촌하여 농업노동을 한 경험이 고스란히 담겨있다.[5] 1939년 동아일보사를 퇴사하고 이약을 따라 경기도 궁촌으로 이사했다. 궁촌에 은거한 이무영은 여기서 농촌 소설을 써내려갔지만, 실제로 농업에 종사하지는 않았고 아버지와 함께 살았던 것도 아니었다. 1940년 4월, 경성보육학교 조선문학과의 강사를 맡았고, 같은 해 궁촌에서 4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군포역 앞으로 이사했다.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3년 친일 소설 〈토룡〉과 〈향가〉를 발표한 바 있고, 《매일신보》에 〈가련한 처칠의 말로〉(1942) 등 친일 논설을 실은 바 있다.[5]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문학 부문에 포함되었다. 이때까지 밝혀진 총 친일 작품 수는 소설 두 편, 논설 네 편의 여섯 편이며[5]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1943년, 『청기와집』으로 제4회 조선예술상을 수상했다.

2. 3. 해방 이후 활동과 죽음 (1945년 ~ 1960년)

이무영은 한국 전쟁에 대한민국 해군 정훈장교로 참전한 뒤 남녀 간의 애정을 다룬 소설을 발표하여 작풍에 변화를 줬다. 1956년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수상했고, 숙명여자대학교단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1956년에는 이헌구, 백철, 이하윤과 함께 국제 펜클럽 런던 대회에 참가했다.

1960년 4월 21일 뇌일혈로 별세하여, 4월 25일 명동성당에서 장례를 거행했고, 창동의 천주교 묘지에 안장되었다.

2. 4. 사후

1994년 고향인 음성군 설성공원에 문학비가 세워졌으며, 그를 추모하는 '무영제'가 제정되었다.[6] 2000년부터 동양일보사 주최로 무영문학상도 시상하고 있다.[6]

3. 주요 작품

3. 1. 소설


  • 단편 소설

  • * 1930년대

  • 꾸부러진 평행한국어 (1932년, 동아일보)
  • B女의 소묘한국어 (1932년)
  • 농부한국어 (1934년)
  • 당기 삽화한국어 (1934년)
  • 루빠쉬카한국어 (1934년)
  • 오도령한국어 (1934년)
  • 용자소전한국어 (1934년)
  • 취향한국어 (1934년)
  • 우심한국어 (1934년)
  • 출가한국어 (1936년)
  • 만보노인한국어 (1937년)
  • 유전한국어 (1937년)
  • 궁촌기한국어 (1939년)
  • 딸과 아들과한국어 (1939년, 인문평론)
  • 제1과 제1장한국어 (1939년, 인문평론)

  • * 1950년대

  • 정상에서한국어 (1950년)
  • ㄷ씨행장기한국어 (1950년)
  • 초향한국어 (1950년)
  • 장화한국어 (1950년)
  • 바다의 대화한국어 (1950년)
  • 사의 행렬한국어 (1950년)
  • O형의 인간한국어 (1950년)
  • 광무곡한국어 (1955년)
  • 역류한국어 (1955년)
  • 벽화한국어 (1955년)
  • 아침한국어 (1955년)
  • 그 전날 밤한국어 (1955년)
  • 호텔 이이따리꼬한국어 (1956년)
  • 부표한국어 (1956년)
  • 시신과의 대화한국어 (1956년)
  • 광상한국어 (1956년)

  • * 1960년대

  • 목석부인한국어 (1960년)

  • 장편 소설

  • 의지 없는 영혼한국어 (1926년)
  • 폐허한국어 (1927년)
  • 지축을 돌리는 사람들한국어 (1932년, 동아일보)
  • 먼동이 틀 때한국어 (1934년, 동아일보)
  • 내일의 포도한국어 (1937년, 동아일보)
  • 흙의 노예한국어 (1939년)
  • 세기의 딸한국어 (1940년, 동아일보)
  • 청기와집한국어 (1941년)
  • 삼년한국어 (1946년)
  • 산가한국어 (1946년)
  • 그리운 사람들한국어 (1950년, 서울신문 연재 중단)
  • 농민한국어 (1950년, 한성신문)
  • 젊은 사람들한국어 (1950년)
  • 농군한국어 (1952년, 서울신문)
  • 사랑의 서장한국어 (1952년)
  • 한국어 (1956년, 경향신문)
  • 난류한국어 (1956년, 세계일보)
  • 빙화한국어 (1956년, 주간희망)
  • 계절의 풍속도한국어 (1959년, 동아일보)

3. 1. 1. 단편 소설


  • 꾸부러진 평행한국어 (1932년, 동아일보)
  • B女의 소묘한국어 (1932년)
  • 농부한국어 (1934년)
  • 당기 삽화한국어 (1934년)
  • 루빠쉬카한국어 (1934년)
  • 오도령한국어 (1934년)
  • 용자소전한국어 (1934년)
  • 취향한국어 (1934년)
  • 우심한국어 (1934년)
  • 출가한국어 (1936년)
  • 만보노인한국어 (1937년)
  • 유전한국어 (1937년)
  • 궁촌기한국어 (1939년)
  • 딸과 아들과한국어 (1939년, 인문평론)
  • 제1과 제1장한국어 (1939년, 인문평론)
  • 정상에서한국어 (1950년)
  • ㄷ씨행장기한국어 (1950년)
  • 초향한국어 (1950년)
  • 장화한국어 (1950년)
  • 바다의 대화한국어 (1950년)
  • 사의 행렬한국어 (1950년)
  • O형의 인간한국어 (1950년)
  • 광무곡한국어 (1955년)
  • 역류한국어 (1955년)
  • 벽화한국어 (1955년)
  • 아침한국어 (1955년)
  • 그 전날 밤한국어 (1955년)
  • 호텔 이이따리꼬한국어 (1956년)
  • 부표한국어 (1956년)
  • 시신과의 대화한국어 (1956년)
  • 광상한국어 (1956년)
  • 목석부인한국어 (1960년)

3. 1. 2. 장편 소설


  • 의지할 곳 없는 청춘한국어
  • 폐허한국어
  • 먼동이 틀 때한국어
  • 농민한국어
  • 1926년 의지 없는 영혼한국어
  • 1927년 폐허한국어
  • 1932년 지축을 돌리는 사람들한국어 (동아일보)
  • 1934년 먼동이 틀 때한국어 (동아일보)
  • 1937년 내일의 포도한국어 (동아일보)
  • 1939년 흙의 노예한국어
  • 1940년 세기의 딸한국어 (동아일보)
  • 1941년 청기와집한국어
  • 1946년 삼년한국어
  • 1946년 산가한국어
  • 1950년 그리운 사람들한국어 (서울신문 연재 중단)
  • 1950년 농민한국어 (한성신문)
  • 1950년 젊은 사람들한국어
  • 1952년 농군한국어 (서울신문)
  • 1952년 사랑의 서장한국어
  • 1956년 창한국어 (경향신문)
  • 1956년 난류한국어 (세계일보)
  • 1956년 빙화한국어 (주간희망)
  • 1959년 계절의 풍속도한국어 (동아일보)

3. 2. 희곡

이무영은 여러 편의 희곡을 집필하였다. 1931년 《한낮에 꿈꾸는 사람들》, 1932년 《탈출》 및 《아버지와 아들》, 1952년 《이순신》, 1955년 《팔각정 있는 집》(《발착점에 선 사람들》)을 발표하였다.

4. 평가

이무영은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3년 친일 소설 〈토룡〉과 〈향가〉를 발표했고, 《매일신보》에 〈가련한 처칠의 말로〉(1942) 등 친일 논설을 기고했다.[5] 이러한 행적으로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문학 부문에 포함되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5]

1933년 경기도 군포로 귀농한 이후 작품 경향에 변화가 나타났다. 농민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을 주로 창작하여 한국 농민 문학 또는 농촌 소설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제1과 제 1장>은 작가가 귀촌하여 농업노동을 한 경험을 바탕으로, 수택이 정직한 농부인 아버지에게 농사를 배우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이무영(李無影) http://encykorea.aks[...] 2022-08-20
[2] 뉴스 06년 12월6일 이완용 등 친일반민족행위자 106명 명단 확정 공개 https://m.hankookilb[...] 2021-12-06
[3] 웹사이트 이무영 (イ・ムヨン) http://srchuci.chosu[...] 2011-09-02
[4]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1-09-02
[5] 저널 친일문학 작품목록 http://www.artnstudy[...] 2007-08-23
[6] 웹사이트 무영제 http://www.artumsong[...] 2005-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